메뉴 영역으로 바로가기 본문 영역으로 바로가기

COMMUNICATION

(주)맵스코는 다양한 교육정보화 구현 경험을 통해
검증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교육뉴스

[대학교육]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2016.09.29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9월 1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9월 27일(화)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습니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습니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습니다.

2017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535,912명으로 재학생은 458,954명, 졸업생은 76,958명이었습니다. 국어 영역 533,092명, 수학 가형 174,741명, 수학 나형 350,270명, 영어 영역 534,939명, 한국사 영역 535,912명, 사회탐구 영역 282,649명, 과학탐구 영역 239,941명, 직업탐구 영역 10,957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26,395명이었습니다.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전체 응시자 중 각각 99.0%, 99.5%로 수험생의 대부분이 최대 선택 과목 수인 2개 과목을 선택하였습니다.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자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52.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44.9%이었습니다. 수학 영역의 경우 가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0.5%,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98.7%이었습니다. 나형은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77.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19.1%이었습니다.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52.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이 44.8%이었습니다.

성적통지표에는 유형 및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표기하였습니다. 수학 영역의 경우에는 유형(가/나형)을, 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에는 과목명을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은 평균 100, 표준편차 20으로,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변환한 표준점수를 사용하였습니다. 한국사 영역의 경우 절대 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기하였습니다.

영역별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어 영역의 경우 130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수학 영역의 경우 가형 121점, 나형 130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어 영역의 경우 127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5점~69점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5점~69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업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6점~78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경우 과목에 따라 62점~74점으로 나타났습니다.

Ⅰ. 영역/과목별 응시자 현황

영역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1>과 같다. 전체 응시자 535,912명 중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응시자는 각각 533,092명, 525,011명, 534,939명, 535,912명, 533,547명, 26,395명이었습니다.
탐구 영역 응시자 중 사회탐구, 과학탐구, 직업탐구 영역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53.0%, 45.0%, 2.0%이었습니다.

<표Ⅰ-1> 영역별 응시자 현황

국어, 수학, 영어 영역 3개에 모두 응시한 수험생 수는 전체 응시자의 97.7%인 523,570명이고, 국어, 수학, 영어, 탐구영역 4개에 모두 응시한 수험생 수는 전체 응시자의 97.4%인 521,859명이었습니다. 수학 영역 유형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2>와 같다. 수학 영역 가형과 나형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33.3%, 66.7%이었습니다.

<표Ⅰ-2> 수학 영역 유형별 응시자 현황

사회탐구 영역의 선택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3>과 같습니다.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를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경제를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습니다.

<표Ⅰ-3> 사회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4>와 같습니다. 응시자는 각 과목의Ⅰ을 많이 선택하였으며,Ⅰ,Ⅱ 과목 각각에서는 생명 과학을 많이 선택하였다. 물리는Ⅰ,Ⅱ 과목 모두 응시자가 적었습니다.

<표Ⅰ-4> 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직업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5>와 같습니다. 회계 원리를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수산·해운 산업 기초를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습니다.

<표Ⅰ-5> 직업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은 <표Ⅰ-6>과 같습니다. 아랍어Ⅰ을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러시아어Ⅰ을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습니다.

<표Ⅰ-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의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은 <표Ⅰ-7>과 같습니다. 사회탐구, 과학탐구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99.0%, 99.5%, 1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1.0%, 0.5%로 수험생 대부분이 최대 선택 과목 수인 2개 과목을 선택하였습니다.

<표Ⅰ-7>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 비율은 <표Ⅰ-8>과 같습니다.
국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52.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44.9%이었습니다.
수학 영역의 경우 수학 가형의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0.5%,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98.7%이었고, 수학 나형의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77.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19.1%이었습니다.
영어 영역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52.7%,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44.8%이었습니다.

<표Ⅰ-8> 국어, 수학, 영어 영역 응시자의 탐구 영역별 응시 비율

Ⅱ. 영역/과목별 등급

1. 국어 영역
국어 영역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1>과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130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1> 국어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2. 수학 영역
수학 영역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2>와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가형 121점, 나형 130점으로 나타났다습니.

<표Ⅱ-2> 수학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3. 영어 영역
영어 영역의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3>과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127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3> 영어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4. 한국사 영역
한국사 영역의 등급 구분 원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4>와 같습니다.

<표Ⅱ-4> 한국사 영역 등급 구분 원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5. 사회탐구 영역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5>와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생활과 윤리 66점, 윤리와 사상 67점, 한국 지리 67점, 세계 지리 68점, 동아시아사 66점, 세계사 69점, 법과 정치 66점, 경제 69점, 사회·문화 65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5> 사회탐구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6. 과학탐구 영역
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6>과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물리Ⅰ 67점, 화학Ⅰ 66점, 생명 과학Ⅰ 67점, 지구 과학Ⅰ 69점, 물리Ⅱ 69점, 화학Ⅱ 69점, 생명 과학Ⅱ 65점, 지구 과학Ⅱ 67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6> 과학탐구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7. 직업탐구 영역
직업탐구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7>과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농업 이해 73점, 농업 기초 기술 72점, 공업 일반 69점, 기초 제도 71점, 상업 경제 74점, 회계 원리 71점, 해양의 이해 74점, 수산‧해운 산업 기초 78점, 인간 발달 72점,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66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7> 직업탐구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8.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와 등급별 인원 및 비율은 <표Ⅱ-8>과 같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등급 구분 표준점수는 독일어Ⅰ 62점, 프랑스어Ⅰ 63점, 스페인어Ⅰ 62점, 중국어Ⅰ 64점, 일본어Ⅰ 66점, 러시아어Ⅰ 66점, 아랍어Ⅰ 74점, 베트남어Ⅰ 65점, 한문Ⅰ 66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표Ⅱ-8> 제2외국어/한문 영역 등급 구분 표준점수, 등급별 인원 및 비율

[출처] 대한민국 교육부 공식 블로그
목록
Back to Top